티스토리 뷰
충성도 등급표를 바탕으로 한 고객 세분시장을 위한 투자 전략
대상 |
충성도 |
투자전략 |
현재 고객 (유지 대상) |
o 매우 충성도 높음 : 이 세분시장은 경쟁업체를 실행 가능한 대안으로 보지 않는다. 그리고 제품, 중대한 사건을 계기로 다른 세분시장으로 옮겨 가기 전까지는 계속 고객으로 남아있을 것이다. |
고객유지 마케팅에 최소규모로 투자 : 서비스, 경험이 충성도를 유지하게 한다. 계속해서 고객 욕구를 학습하여 경쟁적 장벽을 강화한다. 욕구에 부합하기 위해 교차판매를 한다. |
o 이탈가능성 있음 : 이 세분시장은 계속 고객으로 남아 있고자 하는 선호도가 뚜렷하지만 경쟁적 오퍼에 민감하게 반응한다. |
고객유지 투자에 제1의 우선순위를 둔다 : 충성도를 증대시킨다. 기존 관계가 지닌 강점을 보여주어 빠져나갈 수 없는 장벽을 만든다. | |
o 습관적 : 이 고객 세분시장은 제품/서비스 범주를 그다지 중요하게 생각하지 않으며 소극적인 의사결정을 내린다. 브랜드 선호도는 개인 취향처럼 편의상 가지고 있는 것이며 구매는 충동과 오퍼의 영향을 많이 받는다. |
마케팅 투자를 단기적인 이익 증가나 장기적인 구매 의지에 한정 시킨다 : 생애가치가 한정되고 가격/오퍼로 이익잠재력이 제한될 것이기 때문이다. 인식을 변화시키기 위한 적절한 차별화도구를 만든다. 경쟁업체의 근접을 차단하는 구매(대량 구매, 계약)를 창출한다. | |
o 불만족 : 이 세분시장은 브랜드에 불리한 선호도를 바탕으로 한 최소의 노력에도 이탈을 한다. |
추가 마케팅 투자를 최소화한다 : 다른 고객들이 이 범주로 이동하는 것을 최소화한다. | |
비고객 (확보 대상) |
o 새로운 구매자 : 이 세분시장은 현재 제품/서비스 범주 내에서는 구매를 하지 않는다. |
고객확보 마케팅의 제1의 우선순위 : 충성도 고객으로 전향시키기 위해 욕구와 선호도를 학습한다. |
경쟁업체 고객 (확보 대상) |
o 불만족 : 이 세분시장은 경쟁업체로부터 탈환하기 쉬우며 충성고객이 될 가능성이 있다. |
제한된 투자가 필요하다 : 잠재고객이 경쟁업체로부터 이탈하려 하기 때문이다. 이탈 이유를 이해하게 되면 고객 선호도를 알 수 있게 될 것이다. |
o 습관적 : 이 고객 세분시장은 습관적인 현재 고객과 매우 유사하며 사실상 오버랩되어 있다. 구매행위가 경쟁적인 오퍼를 사이에 두고 계속 변하기 때문이다. |
마케팅 투자를 단기적인 이익 증가나 단기적인 구매 의지에 한정시킨다 : 경쟁적인 구매를 최소화하기 위해서다. | |
o 이탈가능성 있음 : 이 세분시장은 마케팅을 통해 확보될 때까지 경쟁업체와 구매를 계속할 것이다. |
고객유지 마케팅에 대한 투자에 제1의 우선순위를 둔다 : 긴 생애가치의 가능성을 바탕으로 한 것이다. 초기 전향결정을 더 확고히 하기 위해서는 긍정적인 경험이 필요하다. 고객 욕구와 선호도를 학습하는 것은 그들의 과거 관계에 대한 지식과 대응시키기 위해 필수적이다. 고객을 유지하고 새로운 경쟁적 장벽을 설정하기 위해서는 그 지식에 따라 행동해야 한다. | |
o 매우 충성도 높음 : 이 세분시장은 매우 심각한 사건이 발생하지 않는 이상 구매 결정을 바꿀 가능성이 없다. |
고객확보 마케팅 투자에 최소한도로 투자하라 : 연구를 통해 기존 관계에서 취약 가능성이 있는 부분을 판별하라. | |
비고객 (대상 제외) |
o 비구매자 : 이 세분시장은 제품/서비스 범주 내에서는 구매를 하지 않는다. |
어떤 마케팅 투자도 삼간다. |
출처 : Marketing ROI, James Lenskold
건사 정용활 대디, 직장인 집에서는 고1 아들, 중2 딸의 아빠, 사회에선 프랜차이즈기업 본부장, 가정과 직장의 식구들을 한 마음으로 사랑하는 휴머니스트랍니다. 두 아이의 아빠로 건강식품 관련, 15년 비즈니스에 필요했던 지식 관련 정보들을 꼼꼼히 소개할게요. |
'Always Study > 혁신&계발&문제해결' 카테고리의 다른 글
5가지 논리 나무들의 목적과 용도 (0) | 2015.02.13 |
---|---|
TOC가 제시하는 마피아 오퍼의 순서 (0) | 2015.02.13 |
6시그마와 TOC의 비교 (0) | 2015.02.13 |
제약이론 TOC란 무엇인가? (0) | 2015.02.13 |
고객유지 마케팅과 고객확보 마케팅의 ROI 측정 역량의 비교 (0) | 2014.01.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