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티핑 포인트 - 말콤 글래드 웰

 

티핑포인트

 


서문 - 예기치 못한 일들이 한순간 폭발하는 세계


01 유행을 만드는 3가지 법칙 - 소수의 법칙, 고착성 요소, 상황의 힘

  20% 원인이 80% 결과를 낳는다

  기억에 남을 메시지를 전염시켜라

  특별한 상황이 특별한 결과를 낳는다


02 소수의 법칙 - 커넥터, 메이븐, 세일즈맨

  여섯 단계만 건너면 모르는 사람이 없다

  어떤 사람이 커넥터인가

  무엇이 어떤 사람을 커넥터로 만드는가

  보다 다양한 세계에서 적극적인 태도를 가져라

  약한 유대 관계를 홀대하지 마라

  커넥터로부터 입소문의 위력이 나타난다

  메이븐이 전염을 부추긴다

  참견쟁이와 박식한 조언자의 차이

  사심 없는 의견 공유가 입소문을 불러온다

  설득력으로 세상을 뒤흔드는 세일즈맨

  설득력 뒤에 숨겨진 미묘한 특성

  설득하기 전에 유대를 형성하라

  설득 방법론의 고전, 정서 감염시키기


03 고착성 요소 - <세서미 스트리트>, <블르스 클루스>, 교육 바이러스

  일반적인 고착성의 요건

  첨단 광고를 누른 분더맨의 성공 열쇠

  바보상자가 어떻게 학습 도구로 승화되었나

  편견을 버리고 대상을 읽어라

  메시지가 가려지는 고착제는 피하라

  잠재된 고착성 향상의 결정판 <블르스 클루스>

  단일 대상의 눈높이에 맞춰라

  상대방의 방식으로 생각하고 말하라

  상대방의 적극적인 참여를 유도하라

  메시지를 끊임없이 되풀이하라

  작은 변화가 모든 것을 바꾼다


04 상황의 힘 1 - 버니 게츠, 뉴욕 시 범죄의 상승과 하락

  상황이 변하면 영웅도 바뀐다

  상황의 추이를 온몸으로 느껴라

  범죄 전염 이론:범죄는 깨진 창문에서 시작된다

  가장 사소한 것이 상황을 이끄는 주원인이다

  환경이 행동을 결정한다

  기본적 귀인 오류와 상황의 힘

  조그만 상황 변화가 전염성을 점화한다


05 상황의 힘 2 - 마술적인 숫자 150

  전염력 강한 집단을 잡아라

  효율적 집단을 위한 150의 법칙

  150의 법칙으로 성공한 고어사

  신선한 압력:상호 교류적인 기억 공유하기


06 에어워크의 티핑 포인트 - 사례연구 1 : 소문 그리고 전환의 힘

  무엇이 에어워크를 날게 했는가

  쉬운 메시지로 아이디어를 전환하라

  혁신적인 통신원을 통한 시장조사가 관건이다

  문화적 계기를 포착하고 전환하여 포장하라

  호기심을 자극해 소문을 극대화하라


07 자살과 흡연의 티핑 포인트 - 사례 연구 2 : 자살, 흡연, 고착성 없는 흡연에 관한 연구

  헛다리 짚는 10대 흡연 캠페인

  유명인의 행동은 백마디 말보다 설득력이 있다

  매력적인 흡연자들이 담배 시장을 움직인다

  습관성 흡연의 고착제:흡연자의 니코틴 반응

  10대 흡연의 전염성:또래 집단의 경험과 언어 공유

  흡연의 고착성을 파악하라


08 누구나 티핑 포인트를 만들 수 있다 - 모든 것을 ‘뜨게’ 하는 긍정적 유연성에 대해


▣ 티핑 포인트의 세 가지 특징 

말콤 글래드웰은 티핑 포인트의 세 가지 특징으로

  첫째, 전염성이 있다는 것

  둘째, 작은 것이 엄청난 결과와 효과를 가져올 수 있다는 것

  셋째, 이런 변화가 극적인 순간에 발생한다는 것을 꼽고 있다. 그리고 이 세 가지 특징 중에서 세 번째 특징이 가장 중요하다고 말한다. 왜냐하면 변화의 순간이 극적이라는 특성이 전염성이 있다는 것, 작은 것이 엄청난 결과를 몰고 올 수 있다는 앞의 두 특징을 설명해주며 최근에 우리 사회에서 볼 수 있는 트렌드의 변화가 어떻게 일어나는지 보여줄 것이다. 

▣ 유행을 만드는 세 가지 법칙 

  소수의 법칙, 고착성 요소, 상황의 힘은 전염을 이해하는 데 매우 중요한 요소들이다. 이 세 가지 요소들은 어떻게 해야 티핑 포인트에 도달하는지를 알려주는 훌륭한 지침이 된다. 

  1. 소수의 법칙 
  경제학자들은 80/20 원칙을 말한다. 어떤 상황에서든지 작업의 80%는 참여자의 20%에 의해 수행된다는 것이다. 대부분의 사회에서 범죄자의 20%가 범죄의 80%를 저지르고 운전자의 20%가 사고의 80%를 일으키며 맥주 마시는 술꾼의 20%가 전체 맥주 소비량의 80%를 마신다. 마찬가지로 사회적인 변화는 소수의 몇몇 사람들에 의해 널리 퍼져나간다. 맨해튼 도심에서 몇몇 히피들이 신다가 미국 전역의 백화점 매장으로 퍼져나가게 된 허시파피 신발의 사례는 그것을 말해준다. 소수의 법칙에 따르면 몇몇 사람이 자신의 사회적 관계와 열정으로 입소문을 퍼뜨리는 것으로 인해 변화는 시작된다. 

  2. 고착성 요소 
  감염의 문제에서 메시지를 퍼뜨리는 사람도 중요하지만 메시지의 내용 역시 중요하다. 어떤 사람이 누군가 말한 것을 기억하지 못한다면 자신의 행동을 바꾸고, 그의 상품을 사지 않을 것이다. 고착성이란 어떤 메시지가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의미하는 것으로 어떤 사람의 기억 속에 그것이 고정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고착성 요소는 전염되는 메시지를 기억하도록 만드는 특수한 방식이다. 정보의 제시와 구조화에 있어 단순한 변화들은 그 정보가 얼마나 고착적인지에 따라 엄청난 차이가 발생하는 것이다. 다이렉트 마케팅의 전설적인 거인 레스터 분더맨의 광고 전략과 미국 어린이 방송 교육 프로그램인 ‘세서미 스트리트’의 사례는 전염의 문제에 있어 고착성 요소의 중요성을 대변해준다. 

  3. 상황의 힘 
  미국 볼티모어에서 매독의 전염은 겨울보다는 여름에 훨씬 더 많이 퍼져 나갔으며, 한때 유행한 허시파피 신발이 1994년 갑작스레 다시 유행하게 된 것도 이스트 빌리지 변두리에 사는 청소년들이 이 허시파피 신발을 신었기 때문이다. 이렇듯 대단한 변화도 결국은 그것이 발생한 시대와 장소의 조건과 상황에 예민하게 반응한다. 즉, 전염성은 상황과 조건 등이 작용하는 상황의 특수성에 의해 강한 영향을 받는다. 상황의 힘에서 강조하는 것은 어떤 행동을 따라하고자 하는 행동이 특정한 유형의 사람에게서 기인하는 것이 아니라 환경적인 요인에서 비롯한다는 것이다. 

▣ 사례로 보는 티핑 포인트 

  * 미국의 독립전쟁은 이렇게 시작되었다. 
  - 보스턴에 사는 은세공인 폴 리비어는 항구 근처에서 영국이 대 조치를 취할 것이라는 오랜 소문을 듣게 되면서 곧 뭔가 큰 일이 일어날 것이라는 것을 직감하게 되었다. 그는 영국군에 대처할 수 있는 민병대가 필요하다고 생각하고는 그 날로 2시간 동안 13마일을 달려가 그가 통과하는 모든 마을에 이 소문을 퍼뜨렸다. 그는 지역 식민지 지도자들에게 곧 영국군이 쳐들어 올테니 이 소식을 다른 사람들에게도 알려달라고 했다. 교회의 종이 울리고, 북소리가 울려퍼졌다. 이 소문은 순식간에 퍼져 다음날 아침 영국군이 렉싱턴을 향해 행군을 시작했을 때 식민지 민병대와 마주치게 되었으며 이 교전으로 인해 미국 혁명으로 알려진 전쟁이 발발하게 되었다. 

  * 여섯 단계만 건너면 모르는 사람이 없다. 
  - 밀그램은 실험을 통하여 ‘인간들이 어떻게 연결되어 있는가?’를 밝혀내었다. 그는 네브래스카주의 오마하에 살고 있는 160명에게 우편물을 보내 보스턴에서 일하는 주식 중개인에게 우편물을 발송하라는 주문을 했다. 각각의 사람들에게 자신들이 생각하기에 주식 중개인에게 편지를 좀더 빨리 전달할 수 있을 것 같은 사람의 이름을 적어 넣으라는 지시를 해 두었다. 이 실험 결과 대다수의 편지가 다섯 내지 여섯 단계를 거쳐 주식 중개인의 손에 닿게 되었다. ‘여섯 단계 거리’라는 개념 혹은 이와 유사한 개념은 대부분의 사람들이 들어본 적이 있을 것이다. 그런데 이 실험에서 특이한 점은 전달된 편지의 절반은 특정 3명의 동일 인물에 의해 전달되었다. 즉 여섯 단계 거리는 모든 사람들이 제각각의 사람들과 연결되는 것이 아니라 특별한 소수의 사람들을 통해 세상과 연결되어 있다는 것이다.

 

 

 

건사 정용활 대디, 직장인

집에서는 고3 아들, 고1 딸의 아빠, 사회에선 작지만 깊이있는 기업의 촉망받는(?) 직장인, 가정과 직장의 식구들을 한 마음으로 사랑하는 휴머니스트랍니다. 두 아이의 아빠로 건강식품 관련, 15년 비즈니스에 필요했던 지식 관련 정보들을 꼼꼼히 소개할게요.

 

 

 

'Always Study > 읽은 책 요약 정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체험마케팅  (0) 2015.07.27
탑그레이딩  (0) 2015.07.23
피터 드러커의 자기경영노트  (0) 2015.03.09
CRM을 넘어 CEM으로  (0) 2015.03.04
CRM을 넘어 PRM으로  (0) 2015.03.04
댓글